본문 바로가기
비지니스 재테크

노동법 핵심 정리: 근로계약부터 퇴직금까지

by 리치블룸 2025. 2. 4.
반응형
노동법 핵심 정리 근로계약부터 퇴직금까지


안녕하세요! 오늘은 노동법의 핵심 내용을 쉽게 정리해볼게요. 근로계약부터 퇴직금까지,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을 담았습니다. 특히 2025년에 바뀌는 내용들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 자, 그럼 시작해볼까요?


 

근로계약서, 이것만은 꼭 알아두세요!


근로계약서는 일하는 사람과 회사 사이의 약속이에요. 근로기준법에 따르면,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서면으로 작성해야 해요. 그리고 중요한 건, 근로자와 사용자가 각각 한 부씩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거예요.

근로계약서에는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할까요? 기본적으로 임금, 근로시간, 휴일, 연차 유급휴가 등이 포함되어야 해요. 이런 내용들이 명확하게 적혀있어야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기 쉽겠죠?


 

주의할 점: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? 사용자에게는 벌금이 부과될 수 있어요. 그러니 꼭 작성해두세요!

근로시간, 얼마나 일해야 할까요?


2025년에도 주 52시간 근무제는 계속 유지돼요. 이게 무슨 뜻이냐고요? 기본 근로시간 40시간에 연장근로 12시간을 더해 최대 52시간까지 일할 수 있다는 거예요.

근로시간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?

1. 기본 근로시간: 주 40시간이에요.
2. 연장근로: 주 12시간까지 가능해요.
3. 휴게시간: 4시간 일하면 30분, 8시간 일하면 1시간 이상 쉬어야 해요.

꿀팁: 휴게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아요. 그래서 8시간 근무한다고 하면 실제로는 9시간 회사에 있게 되는 거죠.

연차휴가, 어떻게 쓸 수 있을까?


연차휴가는 근로자의 권리예요. 2025년에는 연차휴가 사용이 더 쉬워질 전망이에요.

연차휴가 발생 기준


1. 1년 미만 근무자: 한 달 개근하면 1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해요.
2. 1년 이상 근무자: 15일의 연차유급휴가가 주어져요.
3. 2년 이상 근무자: 2년마다 1일씩 추가돼요. 최대 25일까지!

새로운 소식: 2025년부터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기간도 연차 산정에 포함된대요. 이건 정말 좋은 변화네요!

최저임금, 얼마나 오르나요?


2025년 최저임금이 정해졌어요. 시간당 10,030원으로 결정됐대요. 이건 2024년보다 1.7% 오른 금액이에요.

월급으로 계산하면 어떻게 될까요?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2,097,270원이 됩니다. 최저임금은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니까, 꼭 확인해보세요!

육아휴직, 더 좋아졌어요!


2025년부터 육아휴직 제도가 많이 개선된대요. 어떤 점이 바뀌었는지 살펴볼까요?

1. 육아휴직 급여 인상: 최대 250만원까지 올랐어요.
2. 육아휴직 기간 연장: 1년 6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어요.
3. 분할 사용 횟수 증가: 4번까지 나눠서 쓸 수 있어요.

주목할 점: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도 개선됐어요. 자녀가 12세가 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고, 최대 3년까지 가능해졌대요.

퇴직금, 꼭 받아야 해요!


퇴직금은 1년 이상 일한 근로자에게 주는 돈이에요.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?

퇴직금 계산법


퇴직금 = 평균임금 × 30일 × (근속연수 / 365)

평균임금은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의 평균이에요.

중요한 점: 퇴직금은 퇴사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받아야 해요. 만약 늦게 받으면 지연이자가 붙을 수 있어요.


해고, 이럴 때는 안돼요!


회사에서 근로자를 해고할 때는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해요. 그리고 해고 이유와 시기를 반드시 서면으로 알려줘야 한대요.

주의사항:
1.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는 불법이에요.
2. 구두로 해고통보를 하는 것도 안돼요.
3. 근로자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해고할 수 없어요.

노동법, 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!


지금까지 노동법의 핵심 내용을 살펴봤어요. 마지막으로 꼭 기억해야 할 점들을 정리해볼게요.

1.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서면으로 작성하고, 각자 한 부씩 가지세요.
2. 주 52시간 근무제를 지켜야 해요.
3. 연차휴가는 근로자의 권리예요. 꼭 사용하세요!
4. 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,030원이에요.
5. 육아휴직 제도가 많이 개선됐어요.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.
6. 퇴직금은 1년 이상 일했다면 꼭 받아야 해요.
7. 부당한 해고는 불법이에요.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당했다면 대응하세요.


마치며

노동법은 우리의 권리를 지켜주는 중요한 법이에요. 잘 알아두면 일하면서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예방하고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.


 

혹시 노동법과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더 있다면,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나 근로복지공단에 문의해보는 것도 좋아요.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.

마지막으로, 노동법은 계속 변하고 있어요. 특히 2025년에는 많은 변화가 있을 예정이니,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확인해보는 것이 좋겠죠? 우리 모두 행복하고 건강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기를 바라요!

 

반응형